노령연금 수급자격(나이 및 재산기준)

노령연금이라 하면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일정기간 납부를 한 사람이 60세 이상이 되었을 때에 받을 수 있는 연금을 말하기도 하며, 소득이 적어 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기초노령연금을 말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기초 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나이, 그리고 노령연금 재산기준까지 전반적인 사항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노령연금 수급자격
기초 노령연금의 수급자격을 살펴보자면, 우선적으로 나이에 제한이 있습니다. 만 65세 이상인 분들께 지급이되고 있는데요.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있으나, 나이가 들어갈수록 일정한 소득을 얻는다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정부는 2014년 7월부터 노인의 소득을 보장하여 생활안정을 지원 코저 도입하였습니다.

하지만 만 65세 이상이라고 하여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제도는 아닙니다. 소득인정액 기준에 맞어야 수급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2021년 기준으로 하여 기준 소득인정액은 단독가구의 경우 1,690,000원 / 부부가구의 경우 2,704,000원 이하여야 해당이 됩니다.
구분 | 2020년 | 2021년 |
단독가구 | 1,480,000 | 1,690,000 |
부부가구 | 2,368,000 | 2,704,000 |
※ 기초연금 지급대상자 상정기준액, 기준여 금액 및 소득인정액 산정 세부 기준에 관한 고시 개정안으로 인한 변동



2. 노령연금 재산기준(소등인정액 계산)
노령연금 수급자격 중 나이는 주민등록상 생년 월일에 따라 정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겠으나, 재산기준에서 많이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왜냐하면 월소득만 기준으로 놓는 것이 아니라, 재산까지 기준되어 계산이 되기 때문입니다. 소득인정액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인정액
월 소득평가액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소득평가액
(0.7 X(근로소득 - 98만원)) + 기타 소득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일반재산-기본재산액) + (금융재산-2,000만 원) - 부채] X 재산의 소득환산율(연 4%) / 12개월] +P
※ P는 자동차 3,000cc 이상 또는 4,000만 원에 해당되는 재산가액 혹은 회원권의 재산가액이므로 일반재산에서 제외하여 계산하는 것이 특징
기초 노령연금 재산기준 모의계산은 복지로에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http://www.bokjiro.go.kr/nwel/bokjiroMain.do 아무래도 직접 계산을 하시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모의계산을 통해 정확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3. 노령연금 금액
1인 가구 기준 소득의 40% 이하는 월 300,000원 소득 41~70% 는 월 254,760원입니다. 부부가구의 경우 전자는 480,000원 후자는 407,600원을 받게 됩니다.
(금액단위 : 원)
기준 | 소득40%이하 | 소득 41~70% |
1인가구 | 300,000 | 254,760 |
부부가구 | 480,000 | 407,600 |

4. 노령연금 신청방법
노령연금의 신청방법은 우선 만 65세가 되는 1개월 이전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주소지의 주민센터 및 국민연금 공단에 방문하여 신청을 하면 됩니다. 인터넷으로 신청코자 하시는 분들께서는 복지로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필요한 서류로는 신분증과, 연금을 수급받고자는 본인 명의 통장, 신청자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금융 정보 제공 동의서, 전, 월세 계약서가 필요합니다.



5. 노령연금 수급 절차
1. 신청서 작성 및 접수
2. 소득재산 조사
3. 결정 및 통보
4, 지급

글을마치며.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만큼 노령연금 수급자격에 해당이 되신다면, 신청을 하셔서 수급받으셔야 마땅하나, 이러한 제도를 잘 모르기 때문에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하시어 직접 알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한번 신청하여 수급자격에 해당되어 수급된다면 계속하여 수령이 가능하오니 해당되시는 분들께서는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노령연금 재산기준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글을 적는 저조차도 재산기준에 대해서 계산하기가 너무 복잡하다 느꼈습니다. 스스로 계산을 하실 수 있다면 좋겠으나, 모의계산기로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잔여백신 예약 홈페이지 바로가기 방법
잔여백신 예약 홈페이지 바로가기 방법 현재 국내에서는 백신 예약을 아무나, 아무 때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나이별, 생일별 등으로 구분을 지어놓고 해당 조건에 맞는 사람이 정해
ehszldhxp.tistory.com
